Skip to main content

성경통독 2017 92일차



통독범위 역대상 13-16

우리는 예수님만 자랑합니다!”

오늘 읽을 장은 다윗이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오는 과정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언약궤는 땅에 야훼 하나님께서 임재하시는 장소의 상징입니다. 언약궤가 기럇여아림에 방치된 것처럼 있었는데, 다윗이 언약궤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다윗의 마음이 야훼 하나님께로 향해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마침내 다윗이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 오자 곧바로 야훼 하나님은 다윗과 언약을 맺으십니다. 그것이 17장에 이어지게 됩니다.

13장에서 다윗은 언약궤를 옮겨오고자 합니다. 그러나 옮겨오는 과정에서의 무지함으로 사고가 생겨나게 됩니다. 언약궤는 수레에 실을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레위지파에 맡은 자가 매어서 옮겨야 합니다. 그러나 수레에 싣고 때에 수레가 흔들려 궤가 떨어지려고 하는 것을 웃사가 손을 내밀어 궤를 붙들었다가 죽음일 당하고 맙니다. 일로 인하여 궤는 예루살렘으로 오지 못하고 오벳에돔의 집에 머물게 됩니다

14장에서 다윗의 예루살렘에서의 삶이 잠시 언급됩니다. 그리고 블레셋을 물리칩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다윗의 명성은 세상에 널리 날려지게 됩니다

15장에서 다윗을 다시 하나님의 궤를 옮길 준비를 합니다. 이제는 전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레위 사람들로 하여금 궤를 매게 하고 모든 준비를 해나갑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궤가 다윗 성으로 들어올 다윗을 기뻐 춤추며 하나님을 높여드립니다.

16장에는 다윗의 감사 찬송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구하고, 그의 얼굴을 찾는 그의 찬송은 곡조있는 기도로 아름답게 울려퍼지고 있습니다


다윗이 궤를 옮겨오는 과정은 다윗이 하나님을 알아가는 과정입니다. 비록 실수도 있었지만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하는 다윗은 점점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로 훈련되게 됩니다. 저와 여러분도 이러한 과정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장성한 분량으로 자라나는 저와 여러분 되시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ay 22, 2018 성경통독 140 일차 (5 월 22 일 , 화 ) < 통독범위 잠언 25 장 - 잠언 29 장 >   “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 ”   1. 솔로몬의 셋째 잠언 ( 잠 25~29) 1) 대인관계에 관한 잠언 (25-26 장 ) 대인 관계로서 왕 , 이웃 , 미련한 자 , 게으른 자 , 다투는 자 등에 관한 잠언들입니다 .   2) 생활의 처신에 관한 잠언 (27 장 - 29 장 ) (1) 책망의 유익 (27 장 )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책망하는 것에 귀 기울이는 것은 궁극적으로 유익을 얻게 됩니다 (2) 의인과 악인의 대조 (28 장 ) 하나님 앞에서 은총을 입게 되는 것과 자신 스스로를 멸망으로 이끄는 지름길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 (3) 공의로운 통치 솔로몬이 왕으로서 나라를 다스리는 과정에서 얻은 지혜의 일부로 통치자를 대하는 지혜로운 자세 , 이웃에 대한 바른 자세 , 미련한 자와 게으름에 대한 경고 , 거짓말에 대한 경계 등의 교훈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   성도의 삶은 예수님을 드러내는 삶입니다 . 지혜로운 대인관계의 삶을 통해서 선한 영향력을 드러내는 삶을 살길 바랍니다 . 예수님의 이름으로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2017 성경통독 284일차

2017 성경통독 284 일차 (11 월 28 일 , 화 )   < 통독범위 고후 4-6 장 >   “ 우리는 예수님만 자랑합니다 .”   1. 사역에 대한 바울의 해명 (1-2 장 ) 1) 바울의 간증 (1-2 장 )   2) 바울의 사역 (3-5 장 ) ① 새 언약의 일꾼인 사도 (3:1-18): 바울은 옛 언약에 기초한 유대교보다 새 언약에 기초한 그리스도가 우월하며 , 옛 언약의 모세 직분보다 새 언약의 사도 직분이 우월하다고 강조합니다 . 참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로 인한 새 언약의 일꾼입니다 . ② 고난의 사도 (4:1-18) · 바울은 고난을 받으면서도 고난 가운데서 더 크게 나타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았기 때문에 낙심하지 아니하고 항상 감사하였습니다 . 바울은 이 땅에서의 고난이 클수록 하늘의 영광이 더 크다고 고백합니다 . · 또한 바울은 믿는 자들을 질그릇에 담긴 보배 (4:7) 로 묘사했습니다 . 우리는 깨어지기 쉽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복음의 능력으로 쓰임받기 때문입니다 . ③ 부활의 증인인 사도 (5:1-21) · 바울은 세상의 장막집이 무너지면 하늘의 영원한 집이 있음을 알고 고난 중에 기뻐하였습니다 . 우리는 훗날 주님의 심판 앞에 서게 되므로 (5:10) 그리스도의 새로운 피조물 (5:17) 인 우리는 늘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   3) 바울의 권면 (6-7 장 ) ① 바울의 권면 (6:1-18): 바울은 지금이 은혜 받을 만한 때요 , 구원의 날이라고 선포 (6:2) 하면서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님과 화목할 것 (5:20) 과 거룩하게 살 것을 권면합니다 . 바울은 모든 외적고난 (6:4-5) 을 영적으로 이겨내어 (6:6-7) 복된 결말이 될 것을 선포 (6:8-11) 합니다 .

2018 성경통독 97일차 (4월 7일, 토)

2018 성경통독 97일차 (4월 7일, 토) <통독범위 여호수아 20-22장>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 1. 가나안 정복 2. 땅의 분배 1) 요단 동편 지역 정착 2) 요단 서편의 땅 3) 도피성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피의 복수를 면하고 충분한 변호의 기회를 얻게 하기 위하여 6개의 도피성이 지정되었습니다. 4) 레위지판의 성읍들 제사장과 레위 지파는 기업으로의 땅을 분배받지 못하고 대신 각 지파의 땅 중에 거주할 수 있는 48개의 성읍을 분배 받습니다. 저들은 각 지파의 땅에서 제사의 역할을 감당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와 같이 이스라엘로 모든 대적을 이기게 하셨고, 약속하신 땅에 정착하게 하심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큰 안식을 누리게 하셨습니다. 5) 요단 동편 지파들의 귀환 여호수아는 끝까지 함께 싸워준 르우벤, 갓, 므낫세 지파에게 계속하여 하나님께 충성할 것을 명령하고,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는 요단 동편으로 돌려보내줍니다. 돌아가던 요단 동편 지파들은 요단 언덕에 단을 쌓고 하나님께 제사하였는데, 이것이 우상을 위한 단과 제사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켜 동족 간 큰 전쟁이 있을뻔 하였습니다. 그러나 비느하스의 침착한 조사로 이러한 전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